루카 13장 1-9절;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멸망할 것이다.

모임 주의사항

– 나눔은 남을 가르치거나 토론하는 시간이 아니라 모임 전체를 주관하시는 성령의 놀라운 활동을 감지하는 시간이다.
– 묵상 나눔은 다른 사람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깨달은 의미를 함께 나누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의 나눔을 비판하거나 토론해서는 안된다. 자신의 이해력과 지식을 자랑하는 나눔은 바람직하지 않다.
– 이웃 안에 함께 계시면서 말씀의 의미를 밝혀 주시는 성령의 은총을 존중하며, 다른 사람의 나눔을 경청하고 마음에 새긴다.
– 개인적 성격을 띤 나눔 내용은 그룹원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 비밀로 한다. 모임에서 나눈 개인적 이야기는 외부에 퍼뜨리지 않는게 형제애의 실천이다.
– 발표할 때는 반드시 단수 1일칭(나)으로 해야 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3인칭(그 또는 그들) 이나 복수 1인칭(우리)으로 객관화 시키지 않도록 조심한다.

—————————-
복음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멸망할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1-9 1

바로 그때에 어떤 사람들이 와서, 빌라도가 갈릴래아 사람들을 죽여 그들이 바치려던 제물을 피로 물들게 한 일을 예수님께 알렸다. 2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그 갈릴래아 사람들이 그러한 변을 당하였다고 해서 다른 모든 갈릴래아 사람보다 더 큰 죄인이라고 생각하느냐?


3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처럼 멸망할 것이다. 4 또 실로암에 있던 탑이 무너지면서 깔려 죽은 그 열여덟 사람, 너희는 그들이 예루살렘에 사는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큰 잘못을 하였다고 생각하느냐?


5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렇게 멸망할 것이다.” 6 예수님께서 이러한 비유를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자기 포도밭에 무화과나무 한 그루를 심어 놓았다. 그리고 나중에 가서 그 나무에 열매가 달렸나 하고 찾아보았지만 하나도 찾지 못하였다. 7 그래서 포도 재배인에게 일렀다. ‘보게, 내가 삼 년째 와서 이 무화과나무에 열매가 달렸나 하고 찾아보지만 하나도 찾지 못하네. 그러니 이것을 잘라 버리게. 땅만 버릴 이유가 없지 않은가?’ 8 그러자 포도 재배인이 그에게 대답하였다. ‘주인님, 이 나무를 올해만 그냥 두시지요. 그동안에 제가 그 둘레를 파서 거름을 주겠습니다. 9 그러면 내년에는 열매를 맺겠지요. 그러지 않으면 잘라 버리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오늘의 묵상

오래 전에는 사람들이 흔히 하느님을 무서운 분, 심판하시는 분으로 생각했지만, 근래에 와서 이러한 시각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하느님의 자비와 용서를 부각시키면서, 그분께서 우리의 죄를 멀리 치워 주심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분명히 심판도 언급합니다. 복음에서 무화과나무가 열매를 맺지 못할 때 포도 재배인이 그 나무를 곧바로 베어 버리지는 않지만, 끝까지 열매를 맺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베어 버릴 것입니다. 화답송 시편에서 노래한 “주님은 자비롭고 너그러우시네.”라는 말씀도 탈출 34,6-7을 비롯하여 성경 여러 곳에서 되풀이되는 표현입니다.
그러나 “분노에는 더디시나 자애는 넘치시네.”라는 구절 안에는 하느님께서 끝까지 벌하지 않으시고 기다리시는 분은 아니시라는 의미도 분명히 들어 있습니다. 이처럼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잘못할 때마다 매번 벌하시거나 한 번 잘못한 사람을 영원히 내치지는 않으시고 우리가 당신께 되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계속해서 주시는 분이시지만, 그분의 인내에도 한계가 있다는 점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어느 순간 우리도 우리 삶에 마침표를 찍고 마치 이 세상과는 인연이 없는 사람처럼 떠나게 될 것이고, 또 언젠가는 주님께서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실 것입니다. 그때에는 더 이상 시간을 되돌릴 수 없을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지금 우리에게 베풀어 주시는 크신 자비에 감사를 드리면서, 아직 시간이 있을 때에 우리의 삶을 하느님께 돌이키면서 되돌아가야 하겠습니다.
오늘도 이런 충고를 귀담아듣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얘야, 네가 태어났을 때 너는 울음을 터뜨렸지만 사람들은 기뻐했다. 네가 죽을 때에는 사람들은 울음을 터뜨리지만, 너는 기뻐할 수 있도록 살아야 한다”(로빈 S. 샤르마, 『내가 죽을 때 누가 울어 줄까』 중에서).(출저:https://maria.catholic.or.kr/)

—————————–

나눔:

1. 마음에 와 닿는 단어나 구절을 이야기 해봅시다.

2. 나는 회개에 대하여 민감성을 가지고 있는지, 얼마나 자주 회개를 하며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지 묵상해 봅시다. “소죄(작은 죄)는 괜찮을거야”라고 신앙생활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이야기 해보고 언제 어느 이유로 고해소를 찾는지 이야기 해봅시다.

3. 오늘 말씀에 회개할 기회가 있을 때에 회개하고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말씀하십니다. 내 인생에서 기회가 왔을때 잘 잡은 경험이 있었는지 묵상해 봅시다. 살면서 놓칠 수 없었던 세상적인기 기회와 신앙적인 기회에 대해 이야기 해봅시다.

4. 신앙인으로서 “예수님을 안다”라는 말이 어떤 말인지 이야기 해봅시다.

5. 결심: 오늘 말씀을 토대로 나는 어떤 생활을 해야 할지 이야기 해봅시다.

.
.
.
.
.
.
.
.
.
———————————–
부록 동영상, 오늘의 묵상
———————————–

고해성사

사순 제3주 일요일

사순 제3주 일요일

오늘의 묵상

회개하지 않으면 종말에 심판받을 것임을 경고하는 복음 말씀을 듣고 있자면 조금 섬뜩한 느낌이 듭니다. 그러나 우리는 오늘 화답송이 노래하듯이 주님께서 자비롭고 너그러운 분이심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 제1독서는 우리에게 자비로우신 주님의 모습을 잘 보여 줍니다.
하느님께서는 떨기나무 가운데서 불꽃 모양으로 모세를 찾아오십니다. 여기서 떨기나무로 번역된 히브리 말은 ‘서네’입니다. 이 ‘서네’는 광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작은 잎이 무성하며, 가지가 매우 얇아 불꽃이 닿기만 해도 금방 타 버릴 것 같은 모습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꼭 이스라엘의 모습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서네, 곧 덤불 속에 사시는 주님께서는 바로 이러한 이스라엘과 함께하시는 분, 광야에 사시면서 불모지에서 약한 존재들 사이에 머무시는 분이십니다. ‘시나이’라는 말도 이 낱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데, 신명 33,16도 주님을 직접 ‘서네 속에 사시는 분’이라고 표현합니다.
사실, 이스라엘 민족은 주님께서 자신들과 함께하시지 않는다고 여기곤 하였습니다. 그래서 자신들을 덤불처럼 살도록 내버려 두시는 하느님을 원망하곤 하였습니다. 이런 이스라엘에게 하느님께서는 당신이야말로 백성들의 고통을 직접 보고, 들어, 알고 계신 분, 그들 속에 사시는 분이심을 밝히십니다. 그 하느님 이름이 바로 “야훼”, 곧 “있는 나”이십니다. 계시지 않는 어떤 분이 아니라 언제나 그들과 함께 계시는 분이십니다. 늘 우리에게 다가와서 “나다.”라고 말씀해 주시는 분이십니다. 그래서 우리가 진정으로 회개하고 하느님께 돌아간다면 즉시 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그런 하느님이십니다. (염철호 요한 신부)